중국, 일본 총리의 대만 관련 발언에 ‘감정을 건드리면서는 어떠한 진전도 기대할 수 없다’고 밝혀

허 대변인은 다카이치의 중국 관련 발언이 "중국 내에서 강력한 대중적 분노를 일으켰다"며 일본이 "즉시 잘못된 관행을 바로잡을 것"을 촉구했다.

By
허 대변인은 "일본이 잘못된 길을 고집한다면 중국은 단호하게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일본이 "모든 결과"를 감수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은 목요일, 일본 총리의 대만 관련 발언에 대한 파장이 계속되는 가운데, 감정을 건드리면서는 어떠한 진전도 기대할 수 없다고 밝혔다.

도쿄는 "중국의 감정을 해치면서 동시에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기대할 수 없습니다. 이는 중국과의 관계를 맺는 올바른 방법이 아닙니다." 허용첸 상무부 대변인은 베이징이 일본산 수산물 수입 중단을 도쿄에 통보했는지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허 대변인은 다카이치의 중국 관련 발언이 "중국 내에서 강력한 대중적 분노를 일으켰다"며 일본이 "즉시 잘못된 관행을 바로잡을 것"을 촉구했다.

베이징이 관련 일본 개인이나 단체에 대해 경제적 대응 조치를 고려하고 있는지에 대해 허 대변인은 "일본이 잘못된 길을 고집한다면 중국은 단호하게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일본이 "모든 결과"를 감수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나에 다카이치 총리가 11월 7일 대만을 향한 중국의 군사적 행동은 "존립 위협 상황"을 구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일본이 "집단적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발언한 후 양국 간의 외교적 긴장이 고조되었다.

베이징은 해당 성명을 비난하며 도쿄에 철회를 촉구했다. 이후 중국은 자국민들에게 일본 여행 및 유학에 대한 경고를 발령하는 등 여러 보복 조치를 취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기하라 미노루는 도쿄가 중국을 승인하고 대만이 자국 영토의 "떼어낼 수 없는 부분"이라는 베이징의 입장을 "완전히 이해하고 존중한다"고 명시한 1972년 공동 성명을 계속 지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수요일, 도쿄에 본사를 둔 교도통신은 일본 정부 소식통을 인용하여 베이징이 일본산 해산물 수입을 중단할 것이라고 도쿄에 전달했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