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 중국대사 “한중관계, 외부 영향받아선 안 돼”

다이 대사는 “중한 관계는 제3자를 겨냥하지 않고, 제3자의 영향도 받아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By
경주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담

주한 중국대사 다이빙은 한중 양자 관계가 제3국의 간섭 없이 독립적으로 발전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미국의 영향력에 대한 견제 메시지를 던졌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다이 대사는 11일 서울에서 열린 글로벌전략협력연구원과 중국 글로벌거버넌스연구원이 공동 주최한 포럼 축사에서 “중한 관계는 제3자를 겨냥하지 않고, 제3자의 영향도 받아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양국은 확고한 전략적 자주성을 바탕으로 외부 간섭에 대응해야 한다”며 “일방적 패권주의, 보호주의, 디커플링은 양국의 공동이익을 해치는 만큼 함께 반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발언은 미국의 대중 압박 기조 속에서 한국이 중국과의 관계에서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는 중국 측의 시각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다이 대사는 또한 시진핑 주석의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참석에 대해 “한국 측 회의 개최에 대한 귀중한 지지의 표시였다”고 평가하며, “한국이 주최국이 아니었다면 중국도 그만큼 강하게 지지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내년 중국 선전에서 열리는 APEC 회의에 한국이 “지속적인 지지”를 보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다이 대사는 미국의 관세·무역·기술전쟁을 언급하며 “이러한 조치들이 중국에 충격을 주지 못했고, 오히려 자주적 발전과 개방 확대를 촉진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중국은 더욱 강건해졌고 자신감이 높아졌다”며 “미국이 중국과 같은 방향으로 나아가 양국 정상의 합의를 이행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을 향한 비판도 이어졌다. 다이 대사는 최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대만 유사시 집단 자위권 행사 가능성을 언급한 데 대해 “중국으로서는 받아들이기 어렵고 중일 관계 발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포럼에 참석한 중국 글로벌거버넌스연구원 션웨이중 부원장도 “대만 문제에서 한국은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일본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고 평가했다.

이번 발언들은 중국이 한중 관계의 ‘자주성’을 강조하며 미국과 일본의 입장에 선을 긋는 동시에, 한국의 균형외교를 지지한다는 메시지를 내보낸 것으로 풀이된다.